2025.03.31
오늘은 파이썬으로 웹 구현? 하기 진행 !!
[사전 설명]
더보기
window → 가상환경
- code → spyder는 단순 에디터 용도 (ex.메모장)
- cmd (주로 사용할 창)
- chrome (결과 확인을 위한 브라우저)
Django
장점
- 풀스택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기능 내장
- 강력한 ORM(object - relational mapper) 제공
- ORM : 파이썬 객체랑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연결해주는 도구
- 관리자 인터페이스 자동 생성
- 보안 기능 내장
단점
- 학습 곡선이 가파름
- 풀스택이기때문에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과도할 수 있음
- 유연성이 다소 떨어짐
- 비동기 지원이 제한적
Flask
장점
- 유연성이 뛰어남
- 가볍고 학습이 쉬움
- 다양한 확장 가능
단점
-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구조화가 어려울 수 있음
- 기본 기능이 적어 확장이 필요함
- ORM, 폼 검증 등 추가 라이브러리 필요
- 비동기 지원이 제한적
FastAPI
장점
- 매우 빠른 성능
- 자동 API 문서 생성
- 비동기 지원
단점
- Django나 Flask에 비해 커뮤니티 규모가 작음
- 일부 기능에 대해 추가 라이브러리 필요
1. 가상 환경 디렉토리 만들기
cmd 창에서 실행
C:\User\minji>cd\
# cd\ : User에서 빠져나오기
C:\>
# 빠져나온 상태
C:\>mkdir venvs
# "venvs" 라는 이름의 디렉토리 파일 만들기
# mkdir : 디렉토리 파일 만들기
C:\>cd venvs
# venvs로 들어가기
# cd : 체인지디렉토리
C:\venvs>python -V
# 파이썬 버전 확인
#=> Python 3.12.8
2. 가상 환경 이름
C:\venvs> python -m venv myproject
# 파이썬이란 언어로 myproject 라는 이름의 가상환경 make
C:\venvs> cd C:\venvs\myproject\Scripts
# 스크립트 들여다보기
C:\venvs\myproject\Scripts>activate
# activate : 가상환경으로 들어가기
(myproject) C:\venvs\myproject\Scripts>deactivate
# deactivate : 가상환경 빠져나오기
3. 가상 환경에서 플라스크 설치
C:\venvs\myproject\Scripts>activation
# 가상환경 들어가기
(myproject) C:\venvs\myproject\Scripts>pip install flask
# 가상환경에서 flask 설치하기
4. pip 최신버전 설치
(myproject) C:\venvs\myproject\Scripts>python -m pip install --upgrade pip
(myproject) C:\venvs\myproject\Scripts>python -m pip install --upgrade pip
# pip 업그레이드 하기
=> 여기까지가 준비 기본작업 .... !
5. 프로젝트 디렉터리 생성
(myproject) C:\venvs\myproject\Scripts>deactivate
# 앞의 가상 환경 빠져나오기
C:\venvs\myproject\Scripts>cd\
# 디렉토리 빠져나오기
C:\>mkdir projects
# projects 만들기
C:\>cd projects
# 체인지 디렉토리
C:\projects>
# Flask 관련 프로젝트들...
6. 실제 Flask 프로젝트 디렉터리 생성 : 가상환경에서 생성
C:\projects>C:\venvs\myproject\Scripts\activate
# 프로젝트 파일에서 가상환경 열기
(myproject) C:\projects>
# 가상환경 들어옴
(myproject) C:\projects>mkdir myproject
# 가상환경에서 myproject 디렉토리 생성
(myproject) C:\projects>cd myproject
# 체인지 디렉토리
(myproject) C:\projects\myproject>
7. 가상환경 불러오는 약어..? 만들기
- C:\venvs\myproject\Scripts\activate => 현재 가상환경 불러오기까지 너무 길다.
- 1. 메모장에 해당 path를 저장하기
- 2. 메모장은 C:\venvs\myproject.cmd 에 저장
- 3. 윈도우 + R
누르면 해당 창이 뜨는데 sysdm.cpl 로 이동
여기서부턴 캡쳐가 안되서 찍지 못했지만.... 정리하자면,
- 시스템창 → 고급 → 환경변수 → path 에서 편집
- → 환경 변수 편집 화면에서 빈 칸 더블클릭 → 칸 안에 C:\venvs 적기
- → 그리고 확인 확인 확인 ~ 하면→ cmd 에서 myproject만 쳐도 가상환경 열린다.
- 4. path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
- 5. 이제 어디서나 myproject 치면 편하게 가상환경으로 갈 수 있다.
C:\>myproject
# path 치면 ~
8. Spyder 통해서 플라스크 실행하기
- 스파이더에서 py파일 생성하기
from flask import Flask
app = Flask(__name__)
@app.route('/')
def hello_pybo():
return 'Hello Pybo'
# 함수 생성
#=> C:\project\myproject\pybo.py
# py파일을 해당 루트에 저장하기
# 이떄, venvs 는 가상환경 파일이고, 헷갈리지 마셈 !!!
- 저장한 pybo 파일을 cmd 창에서 플라스크로 실행시키기
# 가상환경에서 실행
(myproject) c:\projects\myproject>set FLASK_APP=pybo
(myproject) c:\projects\myproject>set FLASK_DEBUG=true
(myproject) c:\projects\myproject>flask run
- http : 주소가 생성
9. 플라스크 과정도 축약
❗flask run 명령은 반드시 프로젝트 홈 디렉터리( C:\project\myproject )에서 실행해야 한다 !!!!!!❗
다음 페이지에 이어서 ~
[3월][5주차] PYTHON WEB (2)
2025.03.31 PYTHON WEB (1) 이어서 작성 中 # 앞으로 진행할 내용── pybo/ ├── __init__.py : pybo.py를 변경 ├── models.py : 파이썬 데이터베이스 도구인 SQLAlchemy를 사용 ├── forms.py : 서버로 전송된
jjanggun0930.tistory.com
'[LG U+ 5기]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월][5주차] PYTHON WEB (3) / 쉬운.ver (0) | 2025.03.31 |
---|---|
[3월][5주차] PYTHON WEB (2) (1) | 2025.03.31 |
[3월][3주차] 이미지 분류하기 / mnist (1) | 2025.03.17 |
[3월][3주차] 자연어 처리 유사도 검사(eng/kor/Word2Vec) (0) | 2025.03.17 |
[3월][1주차] 자연어 처리 준비 2 (토큰화/정제/정규화/어간,표제어추출/불용어) (0) | 2025.03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