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G U+ 5기]/Study

[1월][4주차][AWS] 1일차 (클라우드/AWS/인스턴스 생성)

jjanggun0930 2025. 1. 21. 17:28

2025.01.21[화요일]

오늘 LG U+ 5기 국비교육 첫 수업날이다. 

 

첫 수업의 시작은 데분 교육보다는 aws, cloud 같은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? 서버? 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..

사실 데이터 분석 배우는 줄 알고 뭐,,, (통계전공생)으로서 어렵진 않겠지 하며 들어왔으나

몰아치는 수업에 처음 듣는 aws에.. 정신없이 8시간 수업이 지났더라는..^^...

 

언젠가 aws 공부 해야지..해야지...하긴 했는데, 이렇게 자세하게 배우게 되다뇨..*^^*

실제 aws 인스턴스 생성과 ip주소 할당 등 여러 실습을 진행하니까 힘들지만 굉장히 재밌었다. 

마치 코딩에서 'hello world' 칠 땐 재밌는 것 마냥 ㅋ 마치 벌써 다 알아버린 듯한 자신감..

 

최대한 매일 배운 내용 정리하면서 취준도 하고... 얼른 취직하고 싶어요ㅜㅜ 

나 진짜 잘할 수 있는데요..

 

쩃던 오늘 수업 굉장히 힘들었지만 (사실 8시간 앉아있는게 힘들었음. 엉덩이 아파서)

간만에 공부하니 재미도 있고, 보람찬 기분... ㅎ 

 

오늘 배운 내용도 좀 정리를 해보겠다.

*어차피 자세한 복습 내용은 노션에 따로 정리하니, 블로그엔 간단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만 작성할 예정*


1장: 클라우드 기초

클라우드란?

클라우드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만 있으면 다양한 서비스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합니다.


인터넷 연결은 유선과 무선 방식으로 나뉘며, IP 주소는 접속 방식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유선 연결:
    재시작할 때마다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습니다.
  • Wi-Fi (무선 연결):
    이동 중에는 IP 주소가 변경됩니다.

유동 IP: 네트워크 연결 상황에 따라 변하는 IP.
고정 IP: 서비스 제공 업체(NAVER와 같은 플랫폼)는 고정된 IP를 사용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 

클라우드 자세히 

    • 핵심(Core)
      • CPU
        • 직렬 처리 방식.
        • ex) 8코어 -> 8cpu : 1 일하다가 버거우면 2 작동.. => 멀티코어
        • but 일반적으로 CPU의 처리 능력은 대부분 남는 경우가 많음.
        • AWS의 아이디어: 남는 CPU 리소스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고 대여료를 받는 방식으로 수익 창출.
      • Workstation
        • 병렬 처리 방식.
        • 예: 8코어 모두 동시에 작동해 작업 속도를 높임.
      • GPU 
        • 요즘엔 잘..쓰지 않음(?)

AWS(아마존 웹 서비스)의 제공 방식

  1. On-premises 방식: 모든 인프라를 직접 관리.
  2. 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: 서버, 네트워크 등 기본 인프라만 제공받음.
  3. PaaS(Platform as a Service): 개발 환경, 애플리케이션 등을 함께 제공.
  4. SaaS(Software as a Service): 이메일, 협업 도구 등 완전한 소프트웨어 제공.

데이터 저장 방식

클라우드에서 데이터 저장은 보안 수준에 따라 나뉩니다.

  1. 프라이빗 클라우드:
    • 보안이 뛰어나며 해킹 가능성이 낮음.
    • 주요 기밀 정보 저장에 적합.
  2. 퍼블릭 클라우드:
    • 해킹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로 필요한 데이터만 저장.

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

  1. 즉시 사용 가능:
    필요한 리소스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음.
  2. 유연한 용량 조절:
    클라우드 환경은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, Auto Scaling으로 필요 시 자동으로 확장.
  3. 손쉬운 테스트 환경:별도의 인프라 투자 없이 다양한 실험 및 테스트 가능.

참고: AWS 관련 영상 시청 -> What is Cloud Computing? | Amazon Web Services


2장 : AWS 주요 서비스와 활용 사례

SQS(Simple Queue Service)

  • 분산형 큐 서비스:
   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서비스 간 비동기 작업 처리에 활용.

AWS 주요 3대장

  1. Amazon EC2 (Elastic Compute Cloud)
    • 가상화 서버 제공 서비스:
      서버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으로 생성하여 사용.
    • 활용 예시:
      • 네이버와 같은 대규모 플랫폼의 서버 배포.
  2. Amazon 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
  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:
     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.
    • 활용 예시:
      • ex) 네이버 홈 화면의 글씨 정보나 기사 데이터 저장.
      • 확장 및 호환 서비스는 : Aurora 에서 !
    • 파일 형태의 저장소:
      정적 웹 리소스, 사진, 동영상 등을 저장.
    • 활용 예시:
      • ex) 네이버 홈 화면의 이미지, 동영상 저장 및 관리.
      • 유튜브 영상 저장.
      •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.Amazon S3 (Simple Storage Service)

활용 예시

  1. Django 프로젝트 구축:
    • EC2: 서버 설치.
    • RDS: MySQL 데이터베이스 설치.
    • S3: 파일 및 콘텐츠 저장.

3장: AWS 실습

EC2 (Elastic Compute Cloud)

AWS의 가상 서버 서비스로,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
주요 특징

  1. 가상 서버 서비스:
    • 물리 서버 대신 가상 머신을 활용.
  2. 리소스 재구성 가능:
    • 서버의 용량을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 가능.
  3. 인스턴스:
    • 서버 단위를 의미하며, 1개의 인스턴스는 1개의 가상 머신에 해당.
  4. 사용한 만큼 과금:
    • EC2를 생성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해제해야 추가 과금 방지.
    • 관리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비용 발생 가능.

EC2 패밀리 타입

EC2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를 지원하기 위해 패밀리별로 최적화된 인스턴스 타입을 제공합니다.

 

실습에서 사용한 T 패밀리:

  • 순간적인 성능 확장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.
  • 프리티어 제공: AWS 신규 계정은 12개월 동안 t2.micro 또는 t3.micro 무료 사용 가능.

Elastic IP (탄력적 IP)

특징

  1. IPv4 기반의 정적 IP 주소:
    • EC2 인스턴스가 재부팅되어도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 가능.
  2. 탄력적 관리:
    • EC2와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쉬움.

주의사항

  1. EC2 해제 후 Elastic IP 반납 필수:
    • Elastic IP를 연결하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아도 과금 발생.
  2. 반드시 EC2와 연결:
    •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면 비용이 부과됩니다.

EC2와 Elastic IP 사용 과정

  1. EC2 인스턴스 생성.
  2. Elastic IP 할당.
  3. EC2 인스턴스와 Elastic IP 연결.

오늘 가장 기억에 남는 것...!

* 인스턴트 생성 시 릴리스 하지 않으면, 즉 계속 실행중으로 두면 과금 과금 과금 !!!! 해제 필수

* 탄력적IP 할당하면 꼭 인스턴트와 연결 -> 연결중일 땐 무료 FREE

* BUT 탄력적ip 해제 하면 연결이 끊기는데, 이러면 ip 가 놀고 있는 주소가 되기에 aws 에서 괘씸 과금 붙임 진짜 주의

* 따라서 탄력적ip 해제 후에는 무조건 릴리즈( Like. 반납) 해줘야 함. 이부분 꼭 확인.. !!!!!!!! 

 

+ 강사님이 엄청 잘 가르쳐주셔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.. 시작이 좋다 !